추녀(part 1)_기능, 종류, 계획

 


저번시간을 기점으로 가구구조를 통해 나타나는 지붕부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살펴보았었습니다.

지붕은 맞배, 팔작, 우진각, 모임지붕등으로 나누어지고 각기 다른 특징도 있고 비슷한 특징또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붕] 맞배지붕

지붕] 팔작지붕

지붕] 우진각지붕

지붕] 모임지붕

 

이번시간에는 지붕을 구성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지붕가구부에 대하여 살펴 볼건데, 한옥 및 문화재를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고 아시는 분들은 지붕이 구성되기 위한 최소한의 부재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고 계시겠지만, 한옥을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 지붕가구부에 대하여 중요한 부재 3가지만 알려드리자면 추녀, (기준)연목, 평고대 입니다. 이중 첫번째 구조재인 추녀에 대하여 이번시간에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추녀의 정의

추녀의 구조(필자도면)

 

- 사면이상의 지붕(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에 설치되는 가구 부재중 모서리 부위에 설치하는 45도로 뻗어나가는 부재입니다.

- 상부지붕하중을 받아 도리왕찌부(처마도리, 중도리)에 전달하는 곡진 방형의 부재입니다.

 

2) 추녀의 기능

① 하중전달기능 : 지붕하중을 축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② 처마곡 형성 : 안허리 및 앙곡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재가 추녀입니다.

③ 의장기능 : 게눈각 처리 및 단청을 통한 의장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3) 추녀의 종류

① 알추녀

 

광화문 상층 알추녀 단면도(필자도면)

 

* 개념 : 추녀의 곡(안허리, 앙곡)이 부족한 경우 추녀 하부에 설치되어 곡을 들어올려주는 또하나의 추녀입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능은 구조적으로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단부를 보강하는 효과적인 부재라는 점입니다. 무작정 단면 치수를 키우기보다는 주위에서 얻을 수 있는 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수 있는 대목이라고 생각합니다.

* 결구방법 : 추녀에 못박아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 알추녀 상부를 그렝이하여 추녀정으로 본추녀와 결구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 사례 : 주로 관영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근정전, 인정전, 중화전, 광화문 문루 )

* 특이사례 : 일반민가( 김정희 고택 안채 ), 알추녀 초각하여 알추녀처럼 보이는것( 경회루 )

* 홑처마 집에서 사래를 통한 추녀 곡 보강사례 : 창덕궁 연경당, 낙선재

* 추녀 끝단에 알추녀가 아닌 목재 덧대는 방법 :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하나의 임기응변 형식이며, 추녀의 가장 외단에 작용하는 하중은 미미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다.

 

② 덧추녀(=추녀적심, 추녀종심목)

경회루 덧추녀(및 알추녀) 단면도(필자도면)

 

* 개념 : 추녀의 단면크기가 작거나, 사래의 물림이 약할 경우에 추녀 위에 덧대어 설치하는 추녀입니다.

( 주로 규모가 큰 팔작지붕, 우진각 지붕, 모임지붕에 사용됩니다. )

* 기능

⑴ 추녀의 부식방지

⑵ 추녀 및 사래 결구부 보강

⑶ 지붕물매 조정

⑷ 누림목, 적심의 기능(추녀 및 사래 뒤초리 눌러주어 들림을 방지한다.)

⑸ 하중 감량기능

* 시공시 유의사항

- 덧추녀는 추녀 및 사래와 일체화 거동이 되도록 빈틈없이 일체화 결구되는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③ 회첨추녀(=골추녀, 헛골추녀)

* 개념 : 두개의 지붕면이 ㄱ,ㄷ,ㅁ,T 자형태로 교차되며 접하게 되는데, 이때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지붕골(회첨부) 아래에 설치되는 추녀입니다.

( 회첨부 시공 및 종류에 대하여는 추후 포스팅에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기능

⑴ 구조적 기능보다는 지붕골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시공상 편의를 고려한 추녀의 한 형태

( 회첨기둥이 구조적으로 회첨부에서 중요한 부재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⑵ 회첨추녀는 생략이 가능한 부재로써 주로 직재를 사용하는 경향

* 사례

- 왕릉 정자각, 집경당, 함회당

 

4) 추녀의 계획(설계단계 및 현장시공)

추녀의 길이산정 앙시도(필자도면)

 

- 추녀는 단일부재만 생각해서는 절대 안될 부재이다. 건물의 밑 주두 하부에서 위를 쳐다보며 그린도면(앙시도)을 기준으로 봤을때는 추녀의 길이와 폭정도 밖에 알 수 없다. 하지만 앞에서 살펴보았듯 추녀는 한 건물의 앙곡과 안허리를 결정짓는 3차원의 부재이다.

이때문에 추녀는 3지점을 중심으로 설명 할 수 있다.(「한옥짓는법」, 김종남 P.264) 3지점이란 추녀가 구조적으로 결구되는 3가지 지점인데, 건물 가장 외측부터 평고대지점, 처마도리지점, 중도리지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추녀내밀기 : 추녀내밀기는 일반적으로 처마도리 중심선으로부터 기준연목 외단부까지 내민 길이의 1/4만큼 더 내민다는 것으로 정의된다.

- 추녀곡 : 추녀곡은 일반적으로 처마도리와 중도리 중심선의 평면상 수평거리의 1/4 정도로 정의된다.

- 추녀의 폭 : 추녀의 폭은 선자연목 마구리 직경의 1.5배 정도로 정의된다.

- 추녀의 수량산출 : 필자도 설계사무소(문화재실측사무소)에서 3년이 조금 안되는 정도 업무를 수행해본 결과 설계사무실에서 추녀의 물량을 산출할때별도의 추녀도를 그리지 않았다. 이는 앞서 말한 3지점마다 단면과 곡의 정도가 다른것을 정확하게 반영한 산출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목재를 주문할때 꼭 필요한 추녀도는 현장 도편수가 그리는 경우가 일반적이라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