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 및 소슬합장


저번 포스팅에서는 지붕부를 마무리하는 모임지붕에 대하여 살펴봤었습니다. 지붕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맞배지붕,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론 울릉도지역이나 강원 산간에 까치지붕집이나 독특한 지붕양상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문화재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지붕] 모임지붕

 

 

바로 직전 포스팅에서 살펴본 모임지붕에 대하여 중요한점 몇가지만 다시 정리하자면, 모임지붕에서는 규모가 작은 모임지붕과, 규모가 큰 모임지붕으로 나누고 이에따라 추녀에 본추녀가 결구되는지, 덧추녀가 결구되는지가 상당히 중요했고 이후에 보의 구성방법과 중도리가 어떻게 구성되고 연목은 선자만 사용하는지, 평연과 선자가 같이 사용되는지 그리고 추녀의 들림의 방지 방법등에 대하여 숙지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가구부를 정리하며 마지막으로 대공에 대하여 살펴보도로 하겠습니다.

 

1) 대공의 개념

- 보위에 놓여 또다른 보나 도리를 받는 짧은 기둥이나 공포형태의 기둥을 말합니다.

- 일반적으로 대공은 종보위에 놓이고, 종도리를 받는 부재로 생각하시면 편할것이라고 사료됩니다.

 

2) 대공의 기능

① 상부부재로부터 하부보로 하중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 높이 조절의 기능을 수행하며, 전체 가구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붕물매를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합니다.

③ 주심포계 건물에서 연등천장일 경우 화려하게 조각,단청 또는 곡재를 사용함으로써 실내 입면의장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3) 대공의 종류


① 사용위치에 따른 분류

- 각각의 도리 하부에 위치한 대공이므로, 도리의 위치에 따라 대공의 명칭도 붙여집니다.

( 종도리→종대공, 중도리→중대공, 합각부대공(허가대공)등 )

 

② 형태에 따른 분류
* 인자대공

- 종도리와 직접결구되지 않으며, 종도리 하부 설치된 대공(동자주대공 등)의 수평이동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사례) 부석사 무량수전, 법주사 대웅보전

( 결구법 : 촉장부맞춤, 통장부맞춤 )

고구려 천왕지신총 개념도(필자도면)

 

- 고구려 천왕지신총에서 사용된 인자대공은 종도리 하부에 다른대공이 없이 유일하게 인자대공만 쓰인 형태입니다.

 

* 포대공

 

포대공의 개념도(필자도면)

 

- 종보 상부에 첨차, 주두, 소로(공포부재)를 사용한 대공입니다.

- 주로 연등천장이 쓰인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려말선초 주심포계 건물들)

사례)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봉정사 대웅전(복화반)

 

* 동자주대공

동자주대공 개념도(필자도면)

 

- 정방형 각재를 사용한 대공이며, 주로 조선중후기 이후 천장이 가설된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짧은 기둥을 사용하였다고 하여 동자주 대공이라고 불립니다.

- 중대공이나 합각대공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키대공

 

키대공 개념도(필자도면)

 

- 섬유질 방향으로 자른 대공을 말합니다. 하나의 부재로써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여러부재를 중첩하여 사용하는 부재입니다.

( 현대 일반목조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집성목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키대공에 초각을 하면 파련형 대공이 되는것 또한 기억해야 할 부분입니다.

파련형 대공사례) 천장이 가설되지 않는 문루건물, 조선후기 관영건물(궁궐) : 팔달문, 흥인지문, 대한문, 인정전 등

 

4) 대공의 시기적 특징


종대공의 시기별 변천경향(필자도면)

 

① 고려말기~조선초기

- 려말선초 조영된 건물의 특징, 주로 주심포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연등천장을 두어 내부 가구를 노출한다는 점입니다.

- 내부가구가 노출됨에 따라 상당히 화려한 초각과 단청을 이용하여 실내의장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습니다.

( 주로 곡재를 사용하여 경사재와 함께 대공이 구성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

 

② 조선중기~조선후기

- 양란이후 부재수급이 어려워지고, 실내 천장이 가설됨에 따라 구조적기능만 수행할 수 있는 판대공등이 나타납니다.

 

5) 소슬합장

* 개념

- 종도리에 직접 결구되지 않는 소슬대공과 달리 종도리에 직접 결구되는 것은 소슬합장이라고 합니다.

* 기능

- 기능은 소슬대공과 같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① 수직하중 분담 기능

② 종도리 이탈 방지 기능

③ 수평횡력 보강 기능

④ 실내의장 기능

 

* 종류

- 소슬합장의 종류는 소슬합장 하부가 어느 부재와 결구되는지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① 도리 및 초공과 결구

봉정사 극락전 솟을합장 단면도(필자그림)

 

수덕사 대웅전 솟을합장 단면도(필자그림)

 

- 소슬합장 상부는 도리 좌우측에 촉장부 맞춤으로 결구됩니다.

- 소슬합장 하부는 도리와 초공과 동시에 촉장부 맞춤으로 결구됩니다.

사례)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② 초공과 결구

- 소슬합장 상부는 도리 좌우측에 촉장부 맞춤으로 결구됩니다.

- 소슬합장 하부는 초공에 직접 촉장부 맞춤으로 결구됩니다.

사례)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③ 보와 결구

봉정사 대웅전 솟을합장 단면도(필자그림)

 

- 소슬합장 상부는 도리 좌우측에 촉장부 맞춤으로 결구됩니다.

- 소슬합장 하부는 보(종보) 상부에 통장부 맞춤으로 결구됩니다.

사례) 봉정사 대웅전, 부석사 조사당, 개심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