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우진각지붕

 

앞선 포스팅까지는 우리나라 문화재 중 목조건축물의 지붕형태인 팔작지붕에 대하여 살펴보았었습니다.

팔작지붕은 상대적으로 맞배지붕보다 격식이 있고, 격식이 있는 만큼 구성하는 방법 또한 까다로웠습니다. 팔작지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추녀와 측면 연목 그리고 합각부가 필연적으로 존재합니다. 이번시간에 살펴볼 우진각 지붕은 팔작지붕에서 사용되는 추녀가 그대로 사용되고, 측면의 연목도 설치된다는 점은 같지만, 합각부가 없고 내림마루가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밑에서 살펴보겠지만, 우진각 지붕은 대게 성문의 문루건물이나 궁궐의 문루건물 즉 중층문루의 2층 지붕에 많이 쓰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우진각 지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진각 지붕의 개념

- 모든면에 지붕이 형성되고, 추녀마루와 용마루만으로 구성되며 추녀와 측면연목이 있는 지붕형태 중 하나입니다.

- 초가 및 성곽문루에서 주로 사용되며 팔작지붕에 비해 사용되는 부재수가 적어 경제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제주 초가의 우진각지붕 가구구성은 기본 7량부터 시작한다는 것도 알고 있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2) 팔작지붕과 우진각지붕의 비교

 

팔작지붕

우진각 지붕

도리 뺄목

많이 뺀다.(합각벽 설치때문이다.)

적게 뺸다.(측면에 사선지붕 설치)

추녀

물매

크다.

작다.(부재수가 작고 경제적이다.)

뒷초리

짧게 뺀다.(집우사,지방목이 있다.)

길게 뺸다.( 집우사,지방목 없다.)

구성

단일 추녀

본추녀+덧추녀

연목

단일 연목

본연목+덧연목

 

※ 공통사항

① 도리왕찌부 추녀 내단부가 위치합니다.

② 충량을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③ 사면에 지붕이 있는 구조입니다.

 

3) 우진각 지붕의 추녀


① 전반적인 특징

- 추녀의 뒷초리를 되도록 길게 가져갑니다. 이유는 팔작지붕처럼 추녀 뒷초리를 잡아주는 집우사, 지방목등이 없기에 상대적으로 외단부의 하중으로 인하여 밖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추녀를 길게 가져가는것을 기본으로 할 때, 추녀의 뒤초리가 중도리왕찌부에서 결구되는지, 종도리 까지 결구되는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② 중도리 왕찌부 추녀 결구

- 추녀가 중도리 왕찌부에서 결구되면, 우진각지붕의 곡을 형성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덧추녀가 설치가 됩니다.

- 덧추녀는 추녀 상부에 설치되며, 종도리와 결구되는 구조를 가집니다.

- 덧추녀 상부에 일반적으로 장연이 설치되고, 받침목 설치 후 단연이 설치되는 경향을 가집니다.

사례) 덕수궁 대한문

 

③ 종도리 추녀 결구

- 일반적으로 종도리에 직접 추녀가 결구되는 구조는 규모가 작은 건물입니다. 건물의 규모(평면)가 작기 때문에 필요한 부재(추녀)도 작아 종도리까지 직접 결구될 수 있는 부재를 구하는데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례) 해인사 수다라장전(십자도리로 종도리 및 추녀 뒷초리 잡아주는 역할 수행)

 

- 두개의 추녀로 구성된 경우가 있는데, 이는 본추녀를 사용하고 덧추녀를 사용한 경우와 다릅니다. 덧추녀는 본추녀의 등에 타서 시작되는데, 하부추녀와 상부추녀가 중도리왕찌 상부 동자주에서 결구되는 구조이기 떄문입니다. 특별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 숭례문에서만 보여지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래에 숭례문은 앞선 ②번의 경우처럼 중도리 왕찌부에서 추녀가 결구되는 구조였으나, 1960년대에 구조를 일부 개조한 결과 중도리 결구부에 동자주를 세우고 종도리 까지 연결되는 새로운 추녀 부재가 추가 된 것입니다.

사례) 숭례문(짤막한 상부추녀의 사용과 중도리왕찌 상부 동자주의 활용)

 

4) 우진각 지붕의 측면 연목


① 장연 및 단연으로 구성된 우진각 지붕구조

- 팔작지붕에서도 장,단연을 사용하여 구성했듯이 우진각지붕에서도 일반적인 측면 연목구성의 한 형태입니다.

- 시공순서 : 본추녀 등에 덧추녀를 설치하고 장연을 구성한 뒤에 단연을 설치하는 구조입니다.

( 덕수궁 대한문의 경우 장연 상부 받침목을 두어 측면 장연을 눌러주는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사례) 덕수궁 대한문, 숭례문, 해인사 수다라장전

 

② 장연만 사용된 우진각 지붕구조

- 장연만 사용된 경우는 주로 덧연목(덧연)이 없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중도리까지만 측면 연목의 내단부가 결구되어 있습니다.

사레) 흥인지문, 근정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