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6]고려불교, 성리학 및 조선건국

 

 

앞선 포스팅에서는 고려의 세력변천 및 도자기 변천과정, 그리고 교육 및 역사서를 살펴봤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려 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종교, 불교의 꽃이라 불리우는 고려시대의 불교와 고려말 성리학의 보급에 대해 살펴보고, 조선시대의 간단한 왕 흐름과 통치조직에 대해 살펴보겠다.

 

 

A.고려불교

 

고려불교도 고려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고려 전기와 추기로 나누어 보면 이해가 조금 더 쉽다. 고려 전기와 후기로 스님을 기준으로 나누어보면 전기의 균여, 의천 후기의 지눌, 혜심, 요세, 보우 스님들이 있다.

 

1) 고려전기

 

① 균여

귀법사 초대 주지스님이며, 광종 집권때 활동했던 스님이다. 종파는 화엄종이며, 보살의 실천을 강조하며 교종 통합을 노력했던 스님이다.(화엄종 중심)

 

② 의천

문종의 4번째 아들로 귀족 불교의 대표적 스님이다. 흥왕사의 주지 스님으로 지내며, 균여와 마찬가지로 교종을 통합니하려 노력했다.(회엄종 중심)

 

2) 고려후기

 

① 지눌

조계종을 창시한 스님이다.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강조하며, 수선결사운동을 주도하며 불교계의 개혁을 주도했다. 이 당시 귀족적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고 "처음으로 돌아가자"라는 신념으로 운동을 했던 스님이다. 이 계기로 불교가 산속으로 들어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② 혜심

지눌의 제자로써, 원래 유학을 공부했던 유학자였으나, 지눌의 강의를 듣고 스님으로 전환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유교와 불교의 일치설을 말하는 「유불일치설」을 주장했다.

 

③ 요세

지눌이 수선결사운동을 주도했다면, 요세는 백련결사운동을 주도했다. 백련결사는 참회운동으로 요즘 기독교식으로 말하자면 "회계하라!"라는 불료의 신념을 가진 스님이었다.

 

④ 보우

선종의 일종인 임제종을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스님이다. 공민왕을 도와 9산 선문을 통합하려 노력했다.

 

 

B. 고려 성리학

 

1) 최초의 성리학

회현 안향으로부터 성리학이 연경으로부터 들어왔다. 충렬왕때에 들어온 것이며, 성리학은 일종의 신(新)유학이다. 구(舊)유학이 공자와 맹자의 말씀만 따르던 학문이라면, 신유학 성리학은 구(舊)유학을 기본으로하고 새로운 입장과 의견을 서술해 놓은 것이 성리학이다. 또한 최초의 성리학자 안향을 기르기 위해 백운동서원을 세웠는데, 이서원은 후기 강학기능의 서원기능 보다는 제사(기리기위한)기능의 서원이었다가 소수서원으로 변천하면서 강학의 기능을 더했다고 한다.

 

2) 이제현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성리학을 배워 돌아왔다. 안향의 제자이기도 하다.

 

3) 이색

성균관이 다시 지어지게 되고, 성균관의 대사성으로 이색이 선정되었다.

 

4) 정도전

고려말 성리학자로써, 조선 건국에 이바지한 성리학자이다.

 

 

C. 조선건국 및 왕(간략정리)

 

1) 조선의 건국

 

앞서 살펴봤듯이, 조선은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뜻에 의하여 건국되었다. 이때 고려말 시기 집권층은 두가지로 분류되는데, 훈구파(정도전)와 사림파(정몽주,길재)로 구분된다. 훈구파 정도전의 후학으로는 이극돈, 유지광 등이 15세기에 활약했으며, 사림파 길재의 후학으로는 김종직, 김일손 등이 16세기에 사림파로써 활약했다.

 

2) 조선의 왕(간략흐름정리)

 

① 왕권안정추구와 재상중심통치시기

-태,정,태,세,문,단,세,예,성

 

② 사화시기

-연,중,인,명,선

 

③ 붕당정치

-광,인,효,현,숙

 

④ 탕평책

-경,영,정

 

⑤ 세도정치

-순,헌,철

 

⑥ 대한제국

-고,순

 

 

으로 나눌 수 있겠다. 각 뒤어 붙는 '종'(덕을 많이 쌓은 군주)이나 '조'(개혁군주)는 생략했으며, 이후 포스팅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려의 불교 및 성리학과 조선의 왕흐름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