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5]고려사회 및 고려경제

 

 

앞선 포스팅에서는 고려왕족의 약 500년 역사를 주요 왕 및 왕들의 업적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포스팅은 고려시대의 사회 및 경제 그리고 변천을 살펴보겠다.

 

 

A. 고려의 세력 변천

 

고려는 크게 무신정변을 기준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뉘는데, 집권세력의 변천과정을 기준으로 보면 크게 다섯가지로 나뉜다. 고려 건국의 바탕이 되었던 지방호족으로부터 시작해서 고려 후기 신흥 무인세력까지로 간략하게 살펴보겠다.

 

1) 호족(지방호족)

신라말기부터 고려초기에 활동한 지방세력가 집단으로써, 자기들을 스스로 성주 또는 장군으로 지칭하였다. 종류로는 진골호족과 군사관련 호족, 지주(땅주인)호족 등이 있다. 이 호족시기는 태조부터 성종떄까지 집권 계층이었다. 호족들의 기반은 농장과 사병으로 입지를 단단히 다져 나갔다.

 

2) 문벌귀족

목종부터 명종까지의 집권층(문벌귀족)이다. 호족과 6두품으로 구성되며, 음서제(추천임명제도)와 공음전(토지세습)을 통해 세력을 유지해 나갔다. 또한 문벌귀족의 자제들을 왕족의 자제와 혼인시킴으로써 그 세력을 더욱더 단단히 유지했다. 하지만 이자겸의 난과 무신정변으로 몰락하고 말았다. 즉 무신정변이전 고려전기의 마지막 집권층이다.

 

3) 무신

명종부터 원나라 간섭기까지 집권층으로써, 무인들이 집권층이었다. 문신을 몰아내고 무신들이 집권함에 있어, 당연히 무신들끼리 싸움이 생겨나는데, 그 순서는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으로 나타난다. 무신집권 중반기가 되면서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 순으로 집권을 하며 무신집권기를 다져나가고 몽골의 6차례 침략으로 인해 붕괴가 된다.

 

4) 권문세족

원나라 간섭기때부터 공민왕 전까지의 집권층으로써, 무신 집권기를 기점으로 하여 과거를 통해 관직을 진출했던 세력이다. 특히 원 간섭기떄에 원과의 관계를 이용해 부유한 재산과 토지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력을 다져나갔다. 하지만 토지에 대한 탐욕과 싸움이 번져나가면서 피해를 보는건 대다수의 농민이고, 결국 죄 없는 농민들만 몰락하게 되었다.

 

5) 신진사대부

공민왕부터 공양왕까지의 조선건국전까지의 집권 세력이다. 반원자주정책을 강조한 공민왕의 뜻과 상통하며 성리학을 바탕으로 성장했다. 이 세력들은 불교를 비판하며 지방의 중소 지주층을 확보하며 입지를 다져나갔다. 하지만 이들 또한 추구하는 입지가 달라 온건 개혁파과 급진개혁차로 나뉘게 되는데, 결국 급진개혁파 정도전을 중심으로 조선이 건국하게 되는 세력이라고 할 수 있다.

 

 

B. 고려 도자기의 변화과정

 

1) 고려전기

순수청자 : 고려만의 독자적인 청자이며, 비취색을 띄는 청자이다.

 

2)고려중기(후기)

상감청자 : 상감기법(은입사)을 통해 표면의 아름다운 무늬를 세겨 넣은 청자이다.

 

3)고려후기

분청사기 : 상감청자 또는 순수청자 위 분을 칠해 아름다움을 추구한 청자로써 고려후기부터 조선초기까지 쓰였다.

 

 

C. 고려 교육 역사서

 

1) 교육기관

 

①국자감(수도권 최고의 학교)

개경에 설치된 고려의 최고 교육기관이며, 고구려의 태학, 통일신라의 국학과 유사한 교육기관이다. 종류는 유학부와 기술학부로 나뉘며, 유학부가 계급이 더 높은 관료의 자제들이 나녔다.

 

②향교(지방의 학교)

성종집권 시기에 12목에 교수진을 파견하여 교육하였고,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지방의 관리나 서민들의 자제도 입학이 가능하였다.

 

2)역사서 편찬

 

고려시기 수많은 역사서를 편찬하여 많은 역사서가 있지만. 현존하는 역사서 중 중요한 것들을 살펴보자면,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 그리고 이승휴의 제왕운기가 잇다.

 

①김부식 「삼국사기」

현존하는 최고의 역사서이다. 유학자 김부식이 신라를 기준으로 작성한 역사서이며, 자주적 사관이 반영되어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이 반영되어 전설관련 내용과 철저한 유교중심으로써 불교는 일체 반영되지 않았다.

 

②일연 「삼국유사」

일연은 원 간섭기 기간의 스님으로써 불교사에 관하여 반영되지 않았던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이어 불교를 중심으로 전설관련 내용을 수록하였다.

 

③이승휴 「제왕운기」

이승휴는 원 간섭기 기간에 집필하였다. 단군신화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했으며, 처음으로 발해사를 우리나라의 역사로 기록했다는 점이 중요한 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