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작지붕] 합각벽체 구조3


앞선 포스팅 2개(합각벽체 구조1,2 에서는 합각벽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합각벽의 보수 및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에 대하여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팔작지붕] 합각벽체 구조1

팔작지붕] 합각벽체 구조2

 

1) 규모가 큰 팔작지붕의 특징(합각부 종보를 사용)

-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은 합각지붕(측면 연목 및 추녀 상부에 지방목을 올려 합각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에서 종도리는 합각면까지 길게 빼내었지만, 중도리는 외기(왕찌부)에서 짧게 뺄목 처리하는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하지만 규모가 큰 팔작지붕에서는 규모가 크기에 횡하중등을 고려한 구조적 안전장치 수단으로 모든 중도리도 합각면 까지 연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5량가~7량가 구조(법주사 대웅보전, 봉정사 대웅전)에서는 모든 중도리를 빼내지만, 경회루와 같이 11량(통상적으로 9량이상)같은 경우에는 상중도리까지만 합각면까지 중도리를 빼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합각면과 기둥열의 관계 개념도(필자도면)

 

- 위 도면은 합각면과 기둥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인데, 측면 기둥열과 가까울수록 합각면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즉, 기둥열에 합각면이 붙을수록 합각면은 커지게되고 그만큼 구조적으로 보강이 더 필요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2) 합각벽체의 보수 및 보강방법

① 합각벽체의 변위원인

- 도리 뺄목 및 대공, 띠장목의 결구력 부족, 부식, 이완의 현상

- 추녀 및 연목 뒷뿌리 들려 누림목등의 변위가 일어나 합각벽체의 변위가 일어나는 현상

- 기타 외부 충격및 누수로 인한 변위

 

② 보수및 보강방법

합각벽체 보수보강 단면도(필자도면)

 

1) 띠장목, 선대공의 신재교체 및 추가설치 방안(풍판벽체의 밀착고정 유도)을 강구합니다.

2) 반마루 누수 없도록 회반죽등으로 밀실하게 시공합니다.

 

3) 누림목은 흘러내리지 않도록 쐐기목 및 철물(연정)보강합니다.

( 적심위에 설치되므로 흘러내리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4) 합각벽에 문양을 넣는 경우에는 건물 성격에 맞는 문양을 넣는다.

( 문화재 수리 대원칙 : 기존 양식대로 보수 및 시공한다.)

5) 합각벽체 시공 후 '물청소'로 마무리를 하며, 기와 이완 및 파손여부를 확인한다.

3) 합각벽체의 일반적인 시공순서

합각벽체 시공 순서(필자도면)

 

- 합각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해체의 역순이지만, 일반적인 시공순서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⑴ 집우사 설치

- 집우사 설치방법은 연목 상부에 태우는 방법, 연목상부의 덧댐목을 대고 그위에 설치하는 방법, 연목 측면에 바짝 붙여서 시공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⑵ 지방목 설치(소규모 합각벽체(지방목 구조), 합각부 종보구조 중 지방목 설치구조)

- 추녀 뒷뿌리 및 측면 장연상부를 눌러주는 지방목을 설치합니다. 지방목 설치시에는 길이가 짧고 국부적인 부재보다는 최대한 긴 부재를 사용하여 측면 합각부를 눌러주는게 중요합니다.

선대공 설치

- 상부 도리의 하중을 받아 지방목으로 전달하는 부재이며, 도리 및 장혀와 밀착결구 되도록 시공합니다.

⑷ 띠장목 설치

- 선대공과 직교로 설치되는 부재이며, 풍판이 설치되는 토대를 마련하며, 합각부를 보강하는 부재입니다.

⑸ 풍판 설치

- 풍판널은 1치(30mm)정도의 두께가 일반적이며 집우사, 선대공, 띠장목과 '못'으로 결구됩니다.

( 풍판자체가 하나의 목부재로 구성될 수 없기에, 풍판널 사이사이를 매워주는 '솔대'를 두기도 하는데 반드시 두는 것은 아니며 모죽인 각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⑹ 박공 설치

- 풍판널이 1치(30mm)를 사용하였다면, 박공은 이보다 1.5배에서 2배정도 두꺼운 1.5치~2치로 구성되며, 폭은 1자(300mm) 내외로 구성됩니다.

⑺ 목기연, 개판 설치

- 합각부의 부연과 같이 생긴 부재를 목기연이라 합니다. 하지만 부연과는 치목형태가 다릅니다. 목기연위에 (목기연)개판을 올리고 개판위에 연함을 구성하는데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함 하부 보강목을 설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와 설치

- 연함상부에 받침장 설치후 암막새, 숫막새를 설치하여 마감해줍니다.

⑼ 기와청소 및 마무리

- 기와면이 흙과 강회로 묻어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경우 먹물을 타서 뿌려주거나 발라주는 일을 한다.

( 준공을 받으려면 필연적으로 해야합니다. )

- 강회 얼룩은 한해 겨울을 지나면 자연적으로 떨어져서 없어지는 사항도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여기까지 팔작지붕 합각벽체 보수 및 시공순서와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팔작지붕은 우리나라의 문화재의 맞배지붕보다 많이 쓰인 지붕이며, 필연적으로 합각벽체를 구성해야하는 것이었습니다.

합각벽체의 구성방법이 크게 2가지로 나뉘며( 지방목 구조, 합각부 종보구조) 이에 따라 구성되는 부재의 종류와 특징 및 사례를 위주로 다시한번 살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