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작지붕] 합각벽체 구조2


지난 포스팅에서는 팔작지붕에서 합각벽의 개념 및 구성부재와 합각벽체를 크게 규모가 작은 팔작지붕과, 규모가 큰 팔작지붕으로 나누고, 규모가 작은 합각지붕을 위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규모가 큰합각벽체에서 사용되는 합각부 종보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팔작지붕] 합각벽체 구조1

 

1. 연목상부에 지방목을 설치하여 합각부 종보를 설치하는 방법

 - 개념 : 연목상부에 지방목을 설치하고, 동자주를 세우는 방식은 규모가 작은 합각부구조와 유사하지만 동자주 상부에 합각부 종보가 올라탄다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합각부 종보 상부에 대공을 설치하여 종도리를 받고, 종도리는 합각면까지 연장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례) 경복궁 근정전, 쌍계사 대웅전(하동)

연목 상부 지방목을 통한 규모가 큰 합각부 설치(근정전,필자도면)

 

2. 공포 상부 받침목 설치하여 합각부 종보를 설치하는 방법

 - 개념 : 측면 주심상 공포 상부에 받침목을 설치하고, 받침목 위에 동자주 설치한 후 합각부 종보를 설치하여 중도리 뺄목 및 종도리를 받는 구조입니다. (종도리는 대공으로 받습니다.)

※ 간단한 순서정리 : 공포상부→받침목→동자주→합각부종보→동자주→종도리(뺄목)

- 단점 : 동자주와 측면연목의 간섭으로 측면에 연목설치가 불안정해 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합각자체를 크게 가져가려는 구조에서는 연목설치의 불편함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는 선배 엔지니어링들의 목적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례) 봉정사대웅전

측면 주심상부에 받침목 설치하여 합각부 종보 형성한 봉정사 대웅전 횡단면도(한국문화재재단)

 

3. 퇴량(충량) 상부에 동자주를 설치하여 합각부 종보를 설치하는 방법

- 개념 : 퇴량 또는 충량 상부에 동자주를 세우고 합각부 종보를 설치하는 구조입니다.

※ 간단한 순서정리 : 툇보상부(내진고주열) 동자주설치→맞보→동자주→종보지지

- 단점 : 공포 상부에 받침목을 설치하는 사례와 마찬가지로 동자주가 설치되는 지점에 연목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연목설치가 불안정해 질 수 있습니다.

 

사례) 법주사 대웅보전

퇴량 상부동자주를 설치하여 합각부 종보 형성한 법주사 대웅보전 횡단면도

 

여기까지 규모가 큰 팔작지붕의 합각벽체 구조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팔작지붕 합각부의 보수방법과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