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포

 

안녕하세요!

저번시간에는 우리나라 유일 하앙구조를 가진 완주군에 위치한 화암사 극락전을 살펴보았었습니다.

하앙의 기능과 구조적 특징 및 주간, 주심, 고주상 문제점과 보강방안까지 알아보았는데, 이번 시간에는 귀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부분이기도한데, 귀포란 건물 모퉁이 즉 모서리에 위치한 공포라는 뜻입니다.

입면으로 봤을때 앙곡이, 지붕평면으로 봤을때 안허리곡이 있으며 공포가 설치되어 우리나라의 멋을 한껏 뽐내는 우리나라 전통 목조건축물에 전면, 측면에만 공포가 있고 모서리부분에 공포가 없다면 허전 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하여 이번시간에는 모서리 공포, 즉 귀포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귀포의 정의

- 앞서 말씀드린데로 전후면 공포가 설치된 건물에서 모서리부 4군대에에도 공포가 대각선으로 설치된 것을 뜻합니다.

- 측면에 공포가 형성된 지붕(팔작,우진각)에서 모서리에 나타나는 공포의 한 형태입니다.

- 대부분 귀포는 팔작 지붕에만 생길 것 같다고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추녀가 없는 다포계 맞배집에도 귀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례) 장곡사 하대웅전

 

2) 귀포의 구성부재

귀포 구성부재 및 개념도(필자그림)

귀포 구성부재 및 개념도(필자도면)

① 귀한대

- 귀포에서 45도 방향으로 뻗어나온 대각선 살미부재 입니다. 즉, 건물의 모서리 부분에서 바라봤을때 바라보는 시각과 평행한 공포라고 생각하시면 편할것 같습니다.

- 귀한대는 좌우대보다 대각석으로 나가기 때문에 약 1.5배정도 더 길게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② 좌우대

- 귀한대를 중심으로 좌, 우에 결구되는 살미형 부재입니다. 전면의 살미가, 측면의 살미가 모서리 끝까지 연장되는 부재라고 생각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것 같습니다.

 

③ 병첨

- 귀포 내부에서 인접부재를 하나의 부재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출목 간격이 좁을경우 인접 부재와 중첩이 되는데, 이경우 하나의 부재를 사용하는것을 말합니다.

- 이는 다포가 아닌 주심포상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 해야 할 것입니다.

 

④ 도매첨

※ 주심도리를 기준으로 외측에 있는 첨차를 외출목이라 부르고, 내측에 있는 첨차를 내출목 첨차라 부릅니다.

- 내출목 측면 주간포 첨차와 거리를 둠으로써 주심도리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첨차를 도매첨이라 합니다.

- 도매첨은 귀포에서만 사용된다는 점도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할 점입니다.

 

⑤ 이방(고삽)

- 평방 모서리 결구부에서 외단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부재입니다.

- 귀한대의 처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귀포에서는 구조적으로 중요한 부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다소 격식이 있는 건물에서는 이방(고삽) 대신에 귀초공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⑥ 팔모소로(접시소로)

- 좌우대, 귀한대를 동시에 받는 소로입니다.

- 운두가 없고, 생긴 모양이 접시처럼 평평하게 생겼다고 하여 접시소로(팔모소로)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소로의 형태가 아닌 팔각형의 형태의 소로이며, 사각의 소로일 경우 귀한대 방향으로 위치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3) 귀포의 종류(내부처리방법을 중심으로)

① 분리형

분리형 귀포(필자도면)

 

- 개념 : 귀한대와 전면, 측면의 살미의 내측부가 교차하지 않고 떨어져 있는 귀포의 한 종류를 뜻합니다.

- 시기적 특징 : 고려말에서 조선초기까지 사용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사례 : 봉정사 대웅전,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② 연장교차형

연장교차형 귀포(필자도면)

 

- 개념 : 귀한대 내측에 첨차를 하나 추가하고, 귀한대 내부 포살미를 연장하여 내출목 중심 밖으로 교차시키는 귀포를 뜻합니다.

- 시기적 특징 : 조선 중기 이후 사용된 경향을 보입니다.

- 사례 : 화엄사 대웅전, 미황사 대웅전

 

③ 일치형

일치형 귀포(필자도면)

 

- 개념 : 내출목거리와 포간거리를 일치시켜서 귀한대 내부 포살미와 인접 주간포 내부 살미를 내출목 중심에서 교차시킨 귀포를 뜻합니다.

- 사례 : 율곡사 대웅전, 전등사 대웅전, 선암사 대웅전(선암사 대웅전은 2018년 유네스코 지정된 문화재)

 

④ 내부교차형

내부교차형 귀포(필자도면)

 

- 개념 :포간거리가 내출목거리보다 좁아, 내출목 안쪽에서 인접한 주간포 살미 내단이 교차되는 귀포를 뜻합니다.

- 사례 : 청도 운문사 대웅전(주장첨차도 사용된 건물)

 

4) 귀포 기타사항

① 귀포 초기의 다포양식은 좌우대가 없었다. 이를 간화수법이라고도 불리운다.

사례) 봉정사 대웅전, 숭례문, 문묘 대성전(중기)

 

② 주심포계, 익공계 팔작지붕 귀포의 특징

- 내출목 첨차가 없는 경향이다.

- 외출목이 1~2개 내외인 경향이다.

- 귀한대는 있지만, 고삽(이방)이 없는 구조이다.

 

③ 시기적 특징

- 고려말~조선초기 : 좌우대가 없고, 분리형 귀포구조 이다.

- 조선 중기~후기 : 주간포 숫자가 늘어나고, 출목수도 늘어나는 경향이며 연장교차형 귀포구조가 주를 이룬다.

 

 

여기까지 귀포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지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