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시간에는 조선초기 공포형식인 다포에 대하여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다포는 고려시대때 부터 사용된 경향을 보이다가 조선초기에 들어와서 숭례문을 기점으로 궁전이나 성문같은 중요시설에 주로 사용된 사례를 볼 수있습니다. 다포의 기능은 지붕을 올려주며, 소규모 부재의 포부재가 중첩되며 나타나는 의장적인 기능까지 갖게 해주는 공포형식입니다. 참고 포스팅 임진왜란 이전 조선건축(지방 사림건축) 조선 유교건축(궁궐,객사) 조선 유교건축(종묘,사직,문묘) 조선의 수도 한양과 지방도시(조선초기건축) 1. 궁궐건축(숭레문) 위에서 말씀 드렸듯, 숭례문에서 조선초기 다포형식이 보여지는데, 숭례문은 조선건국당시 창건되었다가 세종조때 재건되었습니다. 세종조의 시기라고 함은 장인들의 관리를 공조가 맡고 산하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