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첨부(회첨추녀,회첨기둥,회첨골)


 

안녕하세요! 문화재를 사랑하는 딘동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두개의 지붕이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회첨골(회첨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전통건축 목조 문화재의 배치를 살펴보면 한동씩 떨어뜨려 구성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랑채나 안채를 꺾어서 배치하는 경우나 지방에서 형성되고 지금까지 남아있는 한옥마을(양동마을, 하회마을) 등을 살펴보면 여러채의 소규모 단위 평면이 ㄱ자나 T자형으로 붙어서 구성된 예를 쉽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럴때 형성되는 회첨골에 대하여 이번시간에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회첨의 정의

- 두지붕면 ( ㄱ, ㄷ, ㅁ, T자 )이 교차 접하게 되면서 형성되는 지붕부(회첨부)입니다.

- 사찰, 궁궐 권위건물보다는 사람이 거주하는 민가에 주로 사용되는 경향

+) 회첨처마 : 고삽(이방), 회첨기둥, 회첨추녀가 사용됩니다.

2. 회첨의 구성부재

회첨부가 구성되는 부재는 아래와 같으며 회첨기부분에서는 결구법을 항시 기억해야 합니다.

 

① 회첨기둥

② 고삽(이방)

③ 회첨추녀

 

 

하나하나의 부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첨추녀(골추녀)는 생략이 가능한 부재임을 항시 기억해야 합니다.

 

① 회첨기둥

- 개념 : 회첨골 하부에 설치되는 기둥이며 몸채, 날개채의 보~보, 도리~도리가 결구되는 기둥입니다.

- 결구방법 : 주두가 있는것과 주두가 없는것으로 구분됩니다.

⑴ 주두가 있는 회첨기둥

 주두가 있는 회첨기둥머리 결구(필자도면)

 

- 주두가 있는 것은 공포 형식이 주심포, 익공, 다포인 형식이며, 내림주먹장 형식(사갈X)으로 결구됩니다.

- 항시 '보' 먼저 설치되는 것을 기억해야합니다.

 

⑵ 주두가 없는 회첨기둥

주두가 없는 회첨기둥머리 결구(필자도면)

 

- 주두가 없는 회첨머리 기둥결구도 내림 주먹장으로 결구됩니다. 절대 사갈을 트지 않는것이 핵심입니다.

 

CF) 보1, 도리3개의 기둥결구법(특이 사례)

왕릉 정자각 회첨부 결구도(필자도면)

- T자형으로 형성되는 왕릉 정자각에서의 회첨기둥 결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회첨기둥에는 정청의 도리 2개, 보 1개와 배위청의 도리 1개가 결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시공순서 : 정청 주심도리 2개 설치→배례청 처마도리 1개 설치→정청 보 설치

 

② 고삽(이방)

 

③ 회첨추녀

- 개념 : 회첨부(지붕골) 아래 설치되는 추녀

- 기능 : 하중전달을 하는 일반적인 추녀의 구조적 기능과 달리 지붕골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설치되는 추녀(시공상 편의)

- 회첨추녀는 생략이 가능한 부재이며, 사용할시에는 직재(곧은 부재)를 사용합니다.

사례) 왕릉 정자각 / 경복궁 집경당, 함화당 등

 

 

3. 회첨처마 구성방법

회첨추녀가 구성되는 방법은 아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① 회첨추녀를 사용한 방법

② 좌,우 연목만 사용한 방법

회첨추녀를 사용한 방법과 사용하지 않은 방법 두가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회첨추녀를 사용한 방법

⑴ 골추녀 회첨

- 골추녀가 하부에 노출되는 회첨방식입니다.

 

⑵ 맞연귀 회첨

- 회첨서까래가 45도로 맞물리는 회첨방식입니다.

 

⑶ 엇걸음 회첨

- 회첨서까래가 직교, 엇갈려서 구성된 회첨방식입니다.

 

 

 

② 좌,우 연목만 사용한 방법

⑴ 외쪽처마

- 몸체부 회첨연목을 날개채 처마도리까지 인접하여 설치하는 처마형식

사례) 창덕궁 낙선재

 

⑵ 낮춘처마

- 몸채부가 날개채 보다 높은 경우이다.

사례) 양동마을 서백당, 양진당

 

⑶ 독립처마

- 각각의 지붕처마가 상하이격되어 중첩되지 않는 형태의 처마형식입니다.

사례) 영광 연암김씨 종택 안채

4. 회첨부 시공방법

① 고삽(이방), 연함 설치 : 연함은 2푼정도 들여 설치합니다.

② 연함~용마루까지 기준실 띄웁니다.(물매 잡기)

③ 진새설치(동판같이 설치) 합니다.

< 동판 현장 시공사항 > - 「한옥짓는법」, 김종남

- 비철금속취급점에서 주로 구입하며, 동판은 두루마리처럼 말려있는것이며 길이단위로 판매합니다..

- 동판의 폭은 600(mm)가 일반적이라, 회첨골에 깔때는 주로 2~3겹을 함석가위로 자르고 접고 이어서 시공합니다.

④ 회첨골 암기와 설치합니다.

⑤ 회첨골 수키와 설치합니다.

⑥ 어새기와 설치 : 회첨골 1/3이상 덮도록 설치(누수방지책)합니다.

5. 회첨부 누수방지 보수, 시공법

1) 기본원칙
① 원형 유지보존 대원칙 하에 시공합니다.

② 누수방지시설은 관련 전문가 기술자문 및 담당원 승인을 받아 실시하도록 합니다.

 

<회첨부 시공 상세도,필자도면>

 

<회첨부 시공 상세도,필자도면>

 

 

2) 누수방지를 고려한 시공법

① 동판 설치(어새기와 안까지 깊숙히 시공합니다.)

② 회첨골 길이를 짧게 시공합니다.( 이음발 길이를 짧도록 시공합니다. 3겹이기의 이음발=120(mm) > 2겹이기 이음발=180(mm))

③ 회첨부에 대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④ 알매흙에 강회를 많이 넣어 두텁게 시공합니다.(강회는 일정한 누수방지의 기능을 가지고있습니다.)

⑤ 정기적인 회첨골 청소 및 낙엽, 와초등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줍니다.

( 정기적 청소는 1차원적인 방법이지만, 변위원인의 주가 청소상태 불량이므로 주기적인 청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회첨부의 개념 및 종류에 따른 특징 그리고 시공방법과 누수예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회첨부는 앞서 말했듯이 주로 권위적인 궁궐건물 보다는 사람이 항시 거주하는 민가등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특징을 기억하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