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공

안녕하세요!

저번시간에는 공포의 형식 중 주심포에 이어 다포를 살펴보았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익공을 살펴보도록 할텐데, 익공을 살펴보기에 앞서 간략하게 다포 핵심사항을 한번더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다포 핵심사항 정리

① 반자가 쳐지는 구조이다.(주로 우물반자가 설치되는 경향이며 거주용도인 방에는 지반자가 일반적인 경향이다.)

② 부연착고와 평고대가 분리되는 구조이다.(고려시대 통평고대가 아닌것에 유의하자.)

③ 양란이후의 상황들을 생각하자.

- 부재수급이 어렵다.

- 3칸의 소규모 불전이 많이 나타난다.

- 경제적으로 궁핍하기에 전,후면 공포와 처마 형태가 다르다.

(전면:겹처마, 신재의 사용/ 후면:홑처마, 구재의 사용)

- 합재 및 이음부재의 사용이 많다.

(사례:금산사 미륵전(평방), 법주사 대웅보전 등)

④ 조선후기에는 장식화 경향이 눈에 띄게 이루어 진다.

- 시공상의 경제성을 추구하며 효율성을 추구한다.

(예:주장첨차의 사용 = 근정전, 대한문, 마곡사 대광보전 등)

 

2-1) 익공의 개념

- 익공이라는 부재를 사용하여 공포를 형성하는 공포의 한 종류이다.

- 시작은 조선초기이만, 양란이후 조선 중기이후부터 주심포보다 많이 사용되는 공포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 출목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검소하고 소박한 유교적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2) 익공 핵심사항

① 주두하부 '창방'과 직교하여 결구된다.

(↔주심포: 주두상부에서 결구, 헛첨차만 주두하부 창방과 직교하여 결구)

② 도리를 받는 공포양식이다.

(=내출목이 없으며, 많아도 2개 정도이다.)

③ 구조적으로 가장 튼튼하다.

(=기둥과 상부 공포부재와의 이격거리가 짧아 하중 전달에 효율적인 구조이다.)

(=이격거리가 짧은 만큼 사용부재가 적어 경제적인 구조이다.)

④ 익공의 종류(중요순으로)

- 초익공 : 왕릉, 정자각, 배래청에서 사용된다.

- 이익공 : 무조건 재주두가 나타나는 구조이다. 시공순서는 기둥머리 사갈을 트고, 초익공을 결구, 창방(주먹장맞춤)으로 결구, 주두(촉이음), 첨차(두공), 이익공, 재주두, 소로 순이다.

(여기서 시공 팁으로는 항시 첨차가 밑에 깔려야 한다는 점이다.)

 

2-3) 익공 종류별 구조적 특징

① 물익공

물익공 부분 종단면도(필자그림)


- 초익공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익공 형식이다.

- 궁궐 내전에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사례) 안동 양진당, 도산서원 전묘당

 

② 초익공

초익공 부분 종단면도(필자그림)

- 출목이 형성되지 않는것이 일반적이다.

- 우주의 창발뺄목을 초익공으로 치목하는 경향이 있다.

사례) 강릉 해운정, 덕수궁 석어당, 안동 무첨당, 옥산서원 독락당, 해인사 수다라장전

1출목 초익공 사례) 서울 사직단 정문

 

③ 이익공

이익공 부분 종단면도(필자그림)

- 초익공 상부에 이익공, 두공, 재주두를 설치하여 보, 도리, 장여를 지지하는 익공이다.

- 주간상에는 화반을 설치하고, 화반 상부에 장여와 직교되는 운공이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사례) 강릉 오죽헌, 서울문묘 명륜당, 경회루, 화서문, 창경궁 통명전

1출목 2익공 사례) 종묘 정전, 밀양 영남루, 남원 강환루, 봉정사 고금당

 

 

3) 익공과 주심포 형식의 비교

① 공통점

- 주심상에만 공포가 형성되며 주간상에는 소로나 화반으로 구성된다.

- 내출목이 없으며, 외출목이 있어도 2출목 이하인 경향이다.

- 기둥머리에서 공포가 시작된다.(창방과 직교한다.)

( 익공 : 초익공 )

( 주심 : 헛첨차 )

② 차이점

- 출현 및 성행시기

( 익공 : 조선 중기 / 주심포 : 고려말~조선초기)

- 상하 제공이격 유무

( 익공 : 밀착 / 주심포 : 이격 )

- 보 ~ 주두

( 익공 : 밀착 / 주심포 : 이격 )

- 기둥

( 익공 : 민흘림(경향) / 주심포 : 배흘림(경향) )

- 천장

( 익공 : 가설천장(우물천장등) / 주심포 : 노출천장(연등천장) )

- 창방

( 익공 : 수장폭 이상 / 주심포 : 수장폭 사용)

 

※ 익공형식만의 특징

- 외측부는 쇠서형, 내측부는 보아지로 구성된다.

- 보머리에 숭어턱 사용하여 도리의 굴림방지 기능수행 한다.(조선 후기 경향)

 

여기까지 익공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익공은 조선 초기부터 존재했지만, 고려시대에 사용되던 주심포와 다포의 사용이 많았다. 하지만 양란을 거치며 경제적이유와 검소와 소박을 추구하는 유교적인 사상과 합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실학사상등이 반영되어 조선 중기이후부터 조선후기까지 성행했던 공포의 한 형식이라고 보여진다.

주심포와 다포만큼 부재수가 많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하중전달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공포형식이며, 초익공은 왕릉 및 정자각등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익공은 비교적 격식이나 위계가 높은 명륜당이나 경회루 등에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외측으로 출목을 두어 한층 격식을 높인 사례로 종묘정전이나 밀양 영남루 등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익공형식은 우리나라만의 공포 및 가구구조의 한 형식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건축의 특성을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임을 항상 기억하고 우리나라 문화재를 소중하게 생각해야 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