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포

저번시간에는 주심포의 핵심사항 및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다포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면을 실제로 직접 그려보니, 겉보기에 화려한 다포보다 소규모 부재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주심포 구조가 더 힘들다는 것을 깨닮았습니다.

주심상 뿐만 아니라 주간상에도 포가 있어, 언뜻보기에는 두려울 수 있으나 천천히 같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포의 개념

- 주심(기둥이 선 부분) 뿐만 아니라 주간(기둥과 기둥사이)에도 공포를 형성한 공포형식 중 하나이다.

- 고려말부터 조선초기 까지 권위가 있는 건물에서 주로 사용된 경향이 있다.

 

* 시기적 분류

조선초기 : 봉정사 대웅전 / 숭례문

조선중기 : 법주사 대웅보전, 팔상전 / 화엄사 각황전 / 금산사 미륵전 / 마곡사 대웅보전 / 무량사 극락전

조선후기 : 창덕궁 인정전 / 팔달문 / 근정전 / 쌍계사 대웅전(하동,논산)

 

2) 다포 구조적 특징

① 일반사항

- 주간상에도 공포가 설치되면서 평방의 사용과 더불어 창방의 단면 또한 커지게 된다.

- 내출목이 형성된다.(내출목 도리가 있다.)

② 평면 및 초석

- 내진주를 감주 또는 이주 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내부공간 활용의 극대화)

- 불전의 대상이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고려시대 야단법석→공양의 실내화)

③ 기둥

- 고려시대 : 배흘림 기둥(심원사 보광전)

- 조선시대 : 민흘림 기둥(양란 이후에는 피죽만 벗겨 사용하기도 하였다.)

④ 평방

평방의 구조적 특징(필자도면)
창방의 구조적 특징(필자도면)

- 평방의 이음 : 반턱 주먹장이음이 일반적이다.

- 단평방 : 좌우측면에서 좌우평방과 결구되는 짧은 평방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 시킨다.

( 주로 조선 중,후기 다포계 맞배집에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⑤ 안초공

- 기둥머리의 내외로 평방에 직교하여 공포를 받는 부재이다.

- 조선중기(나비형,창경궁 명정전)에 나타나며, 조선후기(파련형, 경복궁 근정전)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 조선후기 사찰과 같은 경우 용머리 장식으로도 하는 경향이 보인다.)

⑥ 주두

- 굽받침이 없으며, 사절된 빗굽형 주두이다.

- 서해안 평야지대에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초각된 하엽형 주두가 있다.(연화두형 주두)

사례) 화암사 극락전

⑦ 첨차

- 교두형 첨차가 일반적이며, 주심상에는 통첨차가 출목에는 트인첨차가 사용된다.

- 출목수 : 조선중기, 후기로 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며, 후기로 갈수록 내출목 첨차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 중첨차도 등장하게 되는데, 소첨과 대첨의 중간의 첨차를 중첨차라 부르며 주로 조선 중기 건물에서 나타난다. 출목수는 대부분 내,외 3출목이며 첨차가 수직으로 3번 중첩되기에 공포를 높게 보여주는 효과가 있다.

사례) 법주사 원통보전, 대웅보전 /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⑧ 주장첨차

- 장여처럼 긴 하나의 판재로 구성된 첨차이다.

※ 자세한 내용 :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⑨ 살미

- 조선 초기 : 초제공~이제공 사이가 이격되는 경향이 있다.(초제공 위치에 교두형 첨차가 사용된다.)

- 조선 후기 : 초공공~이제공 사이가 중첩되는 경향이 있다.(외측 앙서,익공,운공등 다양한 모습이 사용된다.)

※ 자세한 내용 :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⑩ 보

시기별 보의 변천 과정(필자도면)

- 조선 초기

* 보머리 : 삼분두

사례) 숭례문, 봉정사 대웅전, 개심사 대웅전

- 조선 중기

* 보머리 : 살미형 보머리(양란으로 인한 부재수급의 어려움과 장식화 경향의 특징이다.)

사례) 금산사 미륵전 1층, 송광사 대웅전

- 조선 후기

* 보머리 : 삼분두+초각

사례) 창덕궁 인정전, 경복궁 근정전, 덕수궁 대한문

 

⑪ 도리

- 조선초기 : 내출목, 외출목도리는 있고, 주심도리가 생략되는 경향이다.

- 조선후기 : 주심도리는 있고, 내출목도리가 생략되기도 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기까지 다포를 살펴보았다.

다음시간에는 다포를 간단히 다시 정리해보고, 익공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