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포

안녕하세요! 앞전 포스팅에서는 공포의 개념 및 기능을 살펴봤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헛첨차와 안초공은 상당히 중요한 개념으로써 반드시 숙지를 하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기에 다른 챕터보다 상세하게 살펴보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게 공포를 3가지로 나눴을때, 첫번재 챕터에 해당하는 주심포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부분 종단면도(필자그림)

 

수덕사 대웅전 부분 종단면도(필자그림)

1) 주심포의 개념

- 고려말~조선초기에 주로 사용되었던 공포의 형식이다.

- 주심(기둥이 서는 부분)에만 공포가 설치되고, 주간(기둥과 기둥사이)에는 화반,소로등 포벽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2) 주심포 핵심사항

① 정치법을 사용하였다.

(정치법이란? = 지붕이 구성되는 모든 기둥자리에 기둥을 전부 세워 기둥으로써 지붕하중을 받는 구조)

② 연등천장을 사용하여 내부 천장을 노출시켰다.

③ 뺄목이 깊어 측면 풍판없이 우수의 들이침에 대비하였다.

 

3) 구조적 특징

① 기둥

- 고려시대에는 배흘림기둥이, 조선시대(초기)에는 점차 민흘림으로 약화되는 양상을 띈다.

( 조선시대에 민흘림이 주된 이유 : 유교적 영향 )

- 기둥직경의 변화

( 고려 : 정치법 사용의 일반화, 내진주를 이용한 하중전달구조 )

( 조선 : 이주, 감주 사용의 일반화, 보를 통한 하중전달구조 )

 

② 창방

- 고려시대 : 수장폭 사용 경향이 있다.

- 조선시대 : 수장폭을 벗어난 큰 단면의 부재 사용 경향이 있다.(후대로 가면서 모서리 굴리는 경향)

- 뺄목 : 직절 또는 사절의 형태 또는 헛첨차를 두어 창방뺄목 역할을 수행한다.

( 직절: 봉정사 극락전 / 헛첨차 :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조사당)

 

③ 헛첨차

헛첨차가 사용된 수덕사 대웅전(필자그림)

- 앞선 포스팅에서 살펴본 항목들이 주를 이룬다.

사례)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조사당

 

④ 주두&소로

주두 및 소로 변천과정(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 고려시대 주두 및 소로 : 굽받침이 있고, 내반된 오목굽형태이다.

( 굽받침 없는 고려시대 건물 : 봉정사 극락전 )

- 조선시대 주두 및 소로 : 굽받침이 없고, 사절된 형태이다.

 

⑤ 첨차

고려시대(상부), 조선시대(하부) 첨차의 형태(필자그림)

- 고려시대 : 첨차 양끝부분을 직절 또는 사절하고 쌍S자형 쇠시리를 두는 형태이다.

(직절 : 봉정사 극락전 / 사절 :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객사문)

- 조선시대 : 첨차 양끝부분을 궁글린 교두형(만두모양과 같은형태) 첨차이다.

 

⑥ 살미

살미의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변천경향(필자그림)

- 살미와 첨차의 동일한 사용 사례 :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강릉 객사문, 부석사 조사당(고려시대)

- 쇠서형 : 수덕사 대웅전(조선초기)

( 외부는 쇠서형을 두고, 내부는 보아지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 익공형 : 조선 중~후기의 시기적 특징

 

⑦ 보

보의 시기적 변천 경향(필자그림)

- 고려시대 : 내부가 연등천장(노출)이기 때문에 의장적 기능을 중요시하여 보하단을 항아리모양으로 장식처리 했다. 보와 도리가 직접적으로 결구되지 않는것이 특징이다.

- 조선시대 : 내부의 별도 천장을 가설(우물천장등)하기에 구조적 기능만 수행하는 보를 구성하였다. 유교적영향(검소)도 가미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보와 도리가 직접 맞닿아 결구되는 것이 특징이다.

 

⑧ 장여

장여의 시기적 변천 경향(필자그림)

- 고려시대 단장여 사례1)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 모든 도리에 단장여 사용했다.

- 고려시대 단장여 사례2)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 외목도리에만 단장여 사용했다.

 

⑨ 도리

- 외출목도리가 있어도 1출목정도이고,  내출목도리는 없는 경향이다.

- 내출목도리가 없기에 별도의 도리를 구성하는 경향이다.(하중도리:주심도리~중도리사이에 위치한 도리)

 

⑩ 풍판

뺄목 및 풍판의 시기적 특징(필자그림)

- 고려시대 : 별도의 풍판이 없어 뺄목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우수의 들이침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조선시대 : 뺄목을 짧게 가져가고, 풍판을 설치하여 우수의 들이침을 방지한 구조를 가져갔다.

 

여기까지 주심포의 개념과 구조적 특징을 살보았다. 구조적특징은 항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비교하며 살펴보아야 하고, 두가지 시기의 대표적 건축물과 각 부재의 특징의 변천과정에 대하여 눈여겨 봐야 할 것 같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다포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