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방 (개념 및 종류)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기둥을 세우는 입주(立柱)와 우리나라 전통건축에서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인 귀솟음과 안쏠림를 살펴보았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창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창방은 기둥을 모두 세우고, 가새를 설치한 후에 기둥머리 사갈부분에 가로,세로로 건너대는 횡부재를 말하며, 창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1) 개념

- 수직부재인 기둥을 서로 연결시켜줌으로써, 기둥의 일체화를 시켜주는 부재이다.

- 주심포, 다포, 익공형식의 공포형태에서 나타난다.(민도리집에서는 별도의 창방을 쓰지 않는다.)

- 조영시기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 고려시대 창방 : 수장폭 사용, 뺄목 직절, 통장부 결구, 단면형태가 직사각형이다.)

사례) 수덕사 대웅전 

* 조선시대 창방 : 수장폭보다 큰단면 치수, 뺄목 사절 및 초각, 단면형태가 둥근사각형이다.)

사례) 경보궁 근정전

 

2) 기능

- 하중전달 기능을 수행하며, 기둥머리를 서로 잡아주어 일체화 거동을 하도록 만들어 주는 부재이다.

- 하중전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폭보다 춤이 더 길게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의장적 기능 : 창방등에 단청을 하여 건물의 수직성 및 수평성 강조

- 어깨턱

기둥머리 어깨턱(필자 그림)

* 기둥 보강시 필수적인 사항으로, 창방의 결구 유효 단면적을 증대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 시킨다.

* 창방의 처짐을 방지하여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 조선 후기에 주로 사용되며, 궁궐 및 전각계 건물에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사례) 근정전 궁궐 전각

 

3) 종류

① 일반적인 창방

일반적인 공포계 건물에 사용되며, 폭보다 춤이 더 큰 횡부재를 말하며, 앞선 여러가지 기능(구조적 보강, 의장적 기능)들을 수행한다.

 

② 멍에창방

중층 건물에만 사용되는 창방이다. 하층 지붕을 구성하는 연목 내단부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근정전, 인정전 창방 비교>

근정전, 인정전 멍에창방 비교(필자 그림)

* 근정전

- 내목도리가 멍에창방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멍에창방이면서 내목도리인 창방이 두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 상층변주(2층기둥)이 내목도리에 위치한다. 반칸물림형 중층문루의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 단점 : 내목도리에 2층 기둥 연목이 걸려 (편심)하중이 걸려 공포의 파손이 우려되며, 연목 뒤뿌리가 인정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덜 걸려 연목의 들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인정전

- 내목도리와 멍에창방이 따로 존재한다.

- 상층기둥이 내목도리 안쪽에 위치하며, 규모가 작은 인방재를 사용하며, 주로 온칸물림형 중층건물에 사용된다.

(※온칸물림, 반칸물림에 대한 설명은 추후 중층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하도록 하겠다.)

 

③ 연두창방

- 멍에창방 위에 측면 연목이 걸리고, 연목의 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연목 상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창방이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팔달문과 돈화문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