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집 보수 및 시공


이번시간에는 초가의 시공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나와있는 내용으로는 산자의 시공까지는 일반 와가와 같다라고 하며, 그 이후 공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장조사 사항

1) 사전조사(육안으로 확인하는 작업)

- 연죽재료, 설치방법

- 처마내밀기(기스락 내밀기, 기스락 보강재) 정도

- 겉고사새끼 재료 및 두께, 묶는 방법

- 지붕물매 등

2) 해체조사(해체하며 단면을 확인하는 작업)

- 이엉의 재료 및 굵기, 겹친 길이

- 이엉이기의 방법

- 군새의 두께

- 속고사새끼의 재료 및 두께 등

2. 시공 전 유의사항

* 공사시작과 함께 진행해야 할 사항

- 볏짚, 너와, 억새는 공사 시작과 함께 주문하여 부재 수급을 최우선으로 하여야 합니다.

( 볏짚이 자라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수요가 많지않아 공급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 민속마을 보수 및 시공에 관한 경우는 시공전에 미리 볏짚을 계약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벽체를 구성하는 재료인 황토 또한 제주나 강원지역에서는 구하기 힘든 재료이므로 사전 수급에 신경을 써야합니다.

 

3. 초가이기(보수 및 시공)

※ 일반적으로 초가의 산자까지는 와가와 같으나, 연목, 추녀 및 초평(평고대) 즉 지붕가구부가 설치되었다고 생각하고 산자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가의 추녀 설치방법은 종도리에 십자도리를 설치하여 추녀를 받는 구조이며 우진각지붕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제주초가의 특성상 용마름이 없는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초가시공과정 중 용마름이기의 과정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1) 산자받침대

- 와가에서 산자설치전 평고대와 높이를 맞추기 위해 연목방향으로 산자를 받아줄 받침대를 설치하는데, 초가역시 같습니다.

- 산자받침대의 재료는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재료로 하는것이 원칙입니다.

2) 산자설치

- 산자의 재료로는 싸리나무, 쪼갠대나무 등이 있으며, 싸리나무 사용시에는 반드시 완전 건조된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 산자의 이음역시 와가에서와 마찬가지로 연목 중심부에서 잇는것을 원칙으로하며, 이음중첩길이는 2~3자정도 물립니다.

3-1) 진새깔기(알매흙의 개념)

- 알매흙(황토+마사+생석회)가 현장용어로는 진새라고 불리우는데, 이는 제주도에서 알매흙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 초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강회다짐이 없기에 진새를 깔면서 벽체 초벽시공과 같이 짚여물을 넣어 갈라짐이 적도록 합니다.

3-2) 앙토(치받이흙)

- 와가에서 마찬가지로, 처마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산자를 중심으로 진새와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앙토를 시공합니다.

4) 새굴매기

+) 옛말에 "집에 새가있으면 뱀이 꼬인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래서 옛 선배 엔지니어들은 집에 새가 집을 짓지 못하도록 초가집에서는 특히 새굴매기라는 작업을 했습니다.

- 지붕전면에 진새를 깔아도 초평과 이엉(처마마름)사이는 틈이 생기기 마련인데, 이 사이로 새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또하나의 벽체를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작업입니다.

- 찰흙(황토+모래)을 빈틈없이 발라주는 작업을 새굴기라고 합니다.

5) 군새깔기+속고사새끼 매기

- 지붕물매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부하게 흐트러진 지푸라기나 청솔가지등을 사용하여 초가의 배부른 특유의 곡을 잡아줍니다.

- 속고사 새끼란 이엉을 엮을때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새끼를 군새 밑에 미리 엮어 두는 작업을 뜻합니다.

( 일반적으로 속고사 새끼는 지붕면을 격자형으로 잇고 끝은 연죽에 감아 고정하는 경향입니다.)

6) 기스락이기(기스락보강재)

- 처마부분에 설치되어 처마마름의 처짐을 방지하고 처마를 깊게 할 수 있게 만드는 이엉을 기스락이라고 부릅니다.

- 이엉을 지붕전체에 이기전에 미리 지붕끝 부분에 먼저 기스락을 설치합니다.

- 기스락의 처짐을 보강하기 위해 대나무, 나뭇가지등을 활용해 처마마름대(초평에서 1자 돌출) 끝에서 5치정도 내밀어 설치합니다.

7) 처마마름이기

- 기스락설치 후 이엉 2~3겹을 밑둥이 바깥(아래)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합니다. 이후 이엉은 밑둥이 위로 향하게 하여 이어 올라갑니다.

( 처마마름을 밑둥이 아래로 향하는 이유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8) 이엉이기

- 기스락과 처마마름을 밑둥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설치했다면, 이후 이엉은 밑둥이 위를 향하게 하여 이어줍니다.

- 미리 매어놓은 속고사 새끼와 함께 이어나갑니다.( 지붕상부에서 두루마리를 펼치듯이 내려깔아 이어 나갑니다. )

- 일반적으로 이엉은 설계도서에 따르되, 설계도서에 명시되있지 않은 경우 3겹이기로 하는 경향입니다.

9) 연죽설치

- 제주초가의 연죽은 연목 하단에 설치되어 고사새끼를 엮어주는 부재를 의미합니다.

- 지역별로 연죽의 위치는 상이하므로 연죽의 위치는 반드시 고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보수 및 시공해야합니다.

(전라도:기스락 상부 연죽설치 / 경상도,제주도:연목하부 연죽설치)

10) 겉고사새끼 매기

- 이엉이 바람에 날라가지 않도록 전체 지붕을 고사새끼로 동여맨 뒤 연죽에 고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 겉고사새끼 역시 지역별로 매는 방법이 상이하므로 고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보수 및 시공하는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평야지역 : 일자매기(가로엮기) / 제주,섬지방 : 격자엮기 )

11) 기스락 자르기

- 초가는 기와와 같이 정형인 부재가 아닌 볏짚을 이용하여 처마를 구성하므로, 처마의 끝선에 맞추어 설치된 기스락을 가지런히 잘라줍니다.

- 이때 처마의 모서리방향을 둥글게 잘라주는데 이를 방구매기라고 부릅니다.

 

여기까지 제주도의 초가 이엉이기의 시공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제주의 초가는 평야지대의 초가와 다른 특징(용마름이 없는구조, 연죽을 연목하부에 설치하는 구조, 겉고사새끼를 격자로 매는것)이 있었습니다.

문화재 수리에서는 항시 원형유지가 원칙이므로, 고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공을 해야한다는 점을 다시한번 상기하며 이번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