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민가의 특징(해안지역)


이번시간에는 민가의 지역적 종류 중 해안지역에 속하면서도 제주도만의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있는 제주도 민가인 초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도에도 초가이외에 와가도 있지만, 와가는 주로 객사나 관아건물에만 일부 사용되었고 제주도 와가만의 특징도 있지만 안허리 앙곡과 용마루곡등이 거의 없다시피 한다는것 이외에는 일반적인 와가와 다를것이 없어, 이번시간에 제주 민가(초가)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제주초가의 지역적 특징

1) 바람이 많이불고, 비가 많이오는 지역 : 경사가 울릉도보다 완만한 편에 속합니다.

2)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 : 화산석(현무암), 억새, 목재

 

 

2. 제주초가의 배치구조

- 제주초가는 크게 서부와 동부로 나누어 비교합니다. 그 이유는 제주도 섬자체가 남북방향 보다는 동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 서부지역

- 밖거리와 안거리안에 정지(부엌)이 들어가 있는 형태이며, 전체적인 배치는 밖거리, 안거리, 이문거리로 구성됩니다.

 

2) 동부지역

- 밖거리, 안거리와 정지거리가 분리되어, 취사를 하는 부엌의 독립된 채가 형성되있습니다.

- 밖거리, 안거리, 정지거리, 이문거리로 구성됩니다.

사례) 제주 성읍민속마을

 

 

3. 제주초가의 평면구조

1) 이중벽체구조

- 외측에 W330 내외의 화산석(현무암)석벽을 쌓고, 내부에 심벽으로 구성되는 특징입니다.

( 기둥의 두께가 가늘어, 자연스럽게 벽체의 두께가 얇아져 별도의 화산석으로 이중벽체를 구성하는 경향입니다. )

- 제주 일부 평면에서는 심벽 없이 화산석석벽 상부에 처마도리를 두르고 지붕가구를 형성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2) 겹집(田)평면

- 전,후면에 모두 실이 있는 겹집구조로써, 중앙부에는 상방(대청의 개념)을 배치시켜, 마루중심 평면을 하고있습니다.

- 대체적으로 정지는 좌측에, 고팡과 큰구들은 우측에 배치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3) 취사용 아궁이와 난방용 아궁이의 분리

- 정지에서 취사용으로 사용되는 아궁이와 별도의 굴목을 두어 난방용아궁이가 별도로 조성되어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굴목과 큰구들이 연접해있으며, 작은구들은 정지에 별도의 난방용 아궁이를 구성하는 경향입니다.

4) 고팡과 큰구들의 연접배치

- 곡식과 식량은 옛날에는 지금의 돈이나 금과 같은 귀중한 존재였습니다. 그래서 부모님이 거주하시는 큰구들과 연접하여 고팡을 배치하고, 고팡에 곡식등을 보관하여 관리하는 평면구조가 나타납니다.

5) 별도의 굴뚝없이 벽체연도에 조성

- 난방전용 아궁이인 굴목의 구조는 허튼고래형식입니다. 굴목에서 불을 피우고, 별도의 개자리나 굴뚝이 없는 구조인데, 연기는 기단이나 벽체에 구멍을 뚫어 간이형 굴뚝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4. 제주초가의 단면구조

1) 7량의 구조

- 일반적인 제주도 초가의 구조는 7량으로써, 4분변작법으로 구성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 도리의 크기는 매우 가는편에 속하고, 우진각 지붕을 구성하기 위해 별도의 귀잡이보도 사용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2) 단독 장연의 연목

- 장연과 단연으로 구성되는 형태가 아닌, 장연 단독구조로 이루어 지는것이 제주도 초가의 특징입니다.

- 대구경 장재보다는 소구경 장재의 수급이 용이하기 때문이지 않을까라고 생각되는 바입니다.

3) 보와 도리의 크기 동일한 경향(단면크기가 작은 경향)

- 필자가 제주 성읍민속마을 보수설계용역을 하면서, 여러 제주 초가의 도면을 살펴본 결과, 특이하게도 제주 초가의 도리와 보의 크기가 같다는 점이었습니다.

- 또한 굴도리의 사용보다 납도리의 사용이 훨씬 많았다는 점도 주목할만한 점이라고 생각됩니다.

- 도리와 보의 결구는 부재의 결구는 반턱으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민도리집 경향입니다.

4) 전면 퇴칸 구성의 특징(후면 퇴칸도 사용되는 경우도 존재)

- 제주초가는 전면에 낭간을 설치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낭간:툇마루의 개념)

- 낭간을 설치하기 위해서인지, 7량을 설치하기 위해 고주를 두어야 해서인지는 알 수 없지만 항시 전면에는 상방과 연접한 낭간을 두어 전면으로 개방된 구조를 띄고있습니다.

- 배면에도 별도의 낭간이 구성되는 경우도 있지만, 배면은 주로 실로써 사용되는 경향입니다.

5) 낮은 2벌대 자연석기단으로 구성되는 경향

- 궁궐과 와가의 기단처럼 높은 장대석, 가구식기단이 아닌 낮은 자연석(현무암)기단으로 구성됩니다.

- 기단 상부 마감은 외부로 구배를 주어 흙이나 강회로 마감하는 경향입니다.

6) 방구매기

- 추녀의 끝부분에는 평고대를 45도 방향으로 꺾어서 설치해주는데, 이는 방구매기를 하기 위한 바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제주초가의 배치 및 평면, 단면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제주도는 섬지방의 특유한 기후와 인문적 특성으로 인하여 평지, 산간에 조성된 초가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초가의 시공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