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민가(산간,평야,해안)특징


이번시간에는 지붕부를 재료로써 나누었을때 기와를 사용한 집이라고 해서 '와가'와, 볏짚을 사용한 집이라고 하여 '초가'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문화재나 목조건축물을 떠올리면 기와로 이루어진 와가를 많이 떠올리는것이 일반적일텐데, 이러한 이유는 개인적으로 전각이나 사찰들이 모두 격식과 규모가 있는 건물이고 또 민가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지관리가 잘 되는 기와가 아무래도 보존상태가 뛰어나기에 지금까지 우리주변에 남아있고, 잘 보존되고 있기에 우리에게 친숙하다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하지만,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대부분의 백성들은 초가집에 살았고, 민가(民家)라는 뜻자체에도 백성들이 거주하는 집이라는것이므로 그당대의 시대와 삶의 모습을 알기위해서는 당연히 초가집에 대해 기와집만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저의 짧은 소견을 말씀드리면서 민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민가의 정의

- 대다수 피지배층이 살던집으로써 자연환경과 기후에 영향을 많이받고,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로 집을 만들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기후 : 강수량, 강설량, 폭풍우, 바람 등이 포함되며 이는 지붕의 물매나 처마깊이, 굴뚝의 위치나 높이 그리고 평면배치에 영향을 줍니다.

ex) 강원산간지역 : 돌너와집, 통나무 귀틀집 / 제주해안지역 : 현무암이중벽체, 초가집 / 울릉도 : 우데기집(통나무,너와집)

 

2. 지역별 민가유형

1) 산간

- 지역적 특징 : 동절기가 길며, 눈이 많이오며 목재수급이 용이합니다.

- 조영 재료 : 나무, 돌(벽체:빈지판벽, 지붕:돌너와, 목너와)

- 구조적 특징 : 겹집평면, 동절기 실내작업공간 확보(봉당), 높은굴뚝, 외양간이 집안으로 들어와 있는 경향입니다.

 

2) 평야

- 지역적 특징 : 4계절이 뚜렷하며 온난기후입니다.

- 조영 재료 : 볏짚, 이엉, 황토

- 구조적 특징 : 홑집 'ㅡ'자형 평면이며, 대청 툇마루가 큰경향이며 외양간 및 곳간은 별도로 조성하는 경향입니다.

 

3) 해안(섬)

※해안지역은 울릉도와 제주도 지역으로 나뉘는데, 각기 성격이 달라서 두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비교하는것이 좋습니다.

3-1) 울릉도

- 지역적특징 : 바람이 많이불고, 이 많이옵니다.

- 조영재료 : 억새, 나무, 돌

- 구조적 특징 : 홑집(ㅡ)평면이며, 내벽은 통나무로 귀틀집으로하고 외벽은 옥수수대나 판재등을 사용하여 우데기로 돌립니다. 외벽과 내벽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공간이 바로 축담입니다. 축담은 동절기 작업공간으로 봉당과 유사한 공간입니다. 지붕은 억새와 너와를 사용하며 물매가 급한 경향입니다.(바람과 눈이 많이오는것을 반영)

 

3-2) 제주도

- 지역적 특징 : 바람이 많이불고, 가 많이옵니다.

- 조영재료 : 억새, 나무, 돌

- 구조적 특징 : 겹집평면(田)이며, 2중벽체(외측:현무암석벽+내측:심벽형태)로 구성됩니다.

 

댓글